- 중요이슈 도출절차
- 추세영향분석, 이해관계자 인터뷰, 동종업계 자료분석, 미디어 자료 분석, ISO 26000 이행 진단 → 관련성(relevance)평가(중요성평가) → 중대성(Signlificance)평가, 내외부 이해관계 자설문조사(중요성평가) → 핵심 이슈 토론
- DGB금융그룹의 경영활동에 고려해야 할 지속가능성 이슈도출 및
사회적 책임 인식을 위해 이해관게자의 참여를 통한 내외부 환경 분석을 실시 하였습니다.
- 미디어 분석
- 언론매체를 통한 DGB금융그룹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2008~2011년 총 5,324개 유효기사를 분석하여 주요이슈를
도출하였습니다.
- 동종업계 자료 분석
- DGB금융그룹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성과보고 수준을 국내외 주요 5개
금융사의 지표단위 보고 수준과 비교분석하였습니다. 분석결과 DGB금융그룹의 보고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표항목은 검토 후 적합한 보고 수준으로
보완하였습니다.
- 지속가능경영 수준 진단(2012)
- ISO 26000 기반 지속가능경영수준진단지표를 활용하여 이행수준을 진단하고 취약한 사항을 중심으로 관련 이슈를 도출하였습니다.

- 중요성 평가
- 중요성평가는 관련성(relevance)과 중대성(significance)평가의 두 단계로 실시 하였습니다.
- 관련성 평가(ISO 26000 7.3.2.1)
- 내 외부 환경분석, 이해관계자 인터뷰에서 도출된 이슈에 대해 DGB금융그룹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스크리닝(Screening)하여 추세(Trend)와 영향(Impact) 이슈 40개를 도출하였습니다.
- 중대성 평가(ISO 26000 7.3.2.2)
- 관련성(Reievance) 평가를 거친 추세와 영향 이슈에 대해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요성을 평가하여 최종 34개 핵심 이슈를 도출하였습니다.
- 중요 이슈
- DGB금융그룹은 이해관계자 참여를 통한 중요성 평가를 실시하여 총 103개의 지속가능성 이슈 중 40개의 추세(trend)와 영향(impact)관련 이슈를 도출하고 34개의 최종 보고 이슈를 확정했습니다.
순위 | 중요 이슈 | 순위 | 중요 이슈 |
---|---|---|---|
1 | 다양하고 강화된 고객의 요구 증대 | 18 | 청년 실업 및 비정규직 증대 |
2 | 고객 개인정보 보호 | 19 | 직장에서의 인적 개발과 교육훈련(임직원 교육시간 및 평생학습 프로그램) |
3 | 금융거래(개인정보 유출 등) | 20 | 지역개발사업 투자/지원 |
4 | 기업에 대한 신뢰도 | 21 | 광고, 판촉 시 소비자 보호(공정광고) |
5 | 상품, 서비스 책임의 확대 | 22 | 상품 및 서비스의 환경 영향 |
6 | 지역사회의 경제발전에 대한 참여 | 23 | 사회책임투자(SR)의 확대 |
7 | 건강, 친환경, 사회를 중시하는 소비자 증가 | 24 | 협력업체의 권리와 역할의 중대성 증대 |
8 | 투명성에 대한 요구 증대 | 25 | 임직원의 권리와 역할의 중요성 증대 |
9 | 고객만족 활동 및 상품/서비스 정보 제공 | 26 | 근로조건의 질에 대한 공정하고 적절한 고려(직원 이직률) |
10 | 지역사회 교육과 문화발전 기여 | 27 | 출산율 저하와 인구 감소 |
11 | 금융산업의 경쟁 심화 | 28 | 글로벌화 및 상호 관련성 증대 |
12 | 사회적 책임활동 촉진 | 29 | 경제성과 창출 및 배분 |
13 | 부패방지 | 30 | 차별금지 |
14 | 고령화 확대 | 31 | 소액주주 권익보호 |
15 | 지역사회 부와 소득 창출(지역사회 인재 및 제품활용) | 32 | 기후변화 |
16 | 금융의 겸업화와 대형화 | 33 | 지역 보건 증진에 대한 노력 |
17 | 기업정보 수집의 필요성 증대 | 34 | 기후변화 완화 노력(에너지소비 감축 및 재생에너지 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