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적립금 운용은 다음과 같이 보편적인 투자원칙을 고려하여 수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성공적인 투자는 시장의 타이밍이 아니라 긴 안목으로 운용의 성과를 바라보는 장기투자에 있다. 인내야말로 최고의 투자전략이다.’ -워렌버핏
퇴직연금은 기본적으로 가입자가 은퇴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적립.운용되어 기본적으로 장기투자, 적립식투자의 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매년 또는 매월 정기적으로 납입되는 기업부담금으로 근융상품을 계속적으로 사게 되므로 가격이 높을 때는 적게, 가격이 낮을 때에는 많이 살 수 있어
결과적으로 금융상품의 가격을 평준화시킬 수 있어 안정된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장기투자,시간의 분산투자 : 퇴직연금은 기본적으로 가입자가 은퇴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적립, 운용되므로 기본적으로 장기, 적립식투자의 속성을 지닙니다. 일반적으로 단기간에는 시장변화에 따른 급락이나 급등의 변동이 발생하고 그폭이 클수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수익이 완만하더라도 상승하는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하지만 가입자가 변동성이 큰 실적배당상품 투자시에는 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단기간에는 시장 변화에 따른
급락이나 급등의 변동이 발생하고 그 폭이 클 수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수익이 완만하더라도 상승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재무컨설팅에서 자주 듣는 ‘한 바구니에 모든 달걀을 담지 말라’ 라는 격언처럼 퇴직연금의 적립금도 다수의 금융상품에 분산하여 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 종류의 상품에 집중투자하는 경우 그 상품의 수익성이 좋을 경우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시장환경이 좋지 않을 경우 큰 손실을
입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위험 감소 측면에서 상품을 분산할 떄는 단순히 운용상품의 개수를 늘리는 것보다 운용상품의 위험을 분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맑은 날에 장사가 잘되는 부채가게와 비가 오는 날 장사가 잘 되는 우산가게에 100만월을 투자한다고 할때 부채가게 10곳에 각 10만원씩
투자하는 것보다 부채가게 1곳에 70만원, 우산가게 1곳에 30만원을 투자하는 것이 유리할 것입니다.
투자성과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산배분이(91.5%) 제일 중요한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그밖에 요소로는 종목발굴 (4.6%), 행운(2.1%), 매매타이밍(1.8 %) 순입니다.
퇴직연금의 적립금을 운용할때에는 연령, 위험선호도와 같은 가입자 개인의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퇴시점까지 많이 남은 가입자는 얼마 남지 않은 가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고위험자산에 투자할수 있으나 은퇴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가입자는 저위험자산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연령 | 상품구성 예 |
---|---|
30대 | 원리금보장상품 30 ~ 50% 실적배당상품 50 ~ 70% |
40대 | 원리금보장상품 40 ~ 60% 실적배당상품 40 ~ 60% |
50대 | 원리금보장상품 50 ~ 70% 실적배당상품 30 ~ 50% |
가입자는 자신의 위험선호도를 파악하고 그에 맞도록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정적 성향(위험회피형, 안정형)이 강한 가입자는 원리금보장상품 위주로 운용하고 고수익을 위해 손실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가입자(위험선호형,
적극형)는 혼합형이나 주식형 수익증권에 투자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가까운 지점이나 퇴직연금 사이버 창구를 이용하시면 투자성향 시뮬레이션이나 투자자정보확인 절차를 통해 본인의 위험선호도를 확안할 수 있습니다.
안정형은 원리금보장상품과 채권형 수익증권으로 운용하여 원금보전을 위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유형입니다. 중립형은 원리금보장상품, 채권형수익증권과 혼합, 주식형수익증권으로 운용하여 안정성 및 적정한 수익을 추구하는 유형입니다. 적극형은 원리금보장상품, 채권형수익증권과 혼합, 주식형수익증권으로 운용하되, 고수익 추구를 위해 위험자산 투자비율(혼합, 주식형수익증권)이 높은 투자유형입니다.
실물경기와 마찬가지로 주식 및 채권시장도 호황과 불황을 반복합니다 또한 정기예금 이자율 또한 경기에 따라 인상 또는 인하됩니다.
때문에 퇴직연금의 적립금을 운용할 때에는 시장 변동(Market Cycle)을 고려하는 것이 투자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시장상황이 불황기(저금리)에서 호황기(고금리)로 전환될 시기에는 주식편입, 수익증권매수, 수익증권 매도후 현금보유 전략이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되며 반대로, 시장상황이 호황기(고금리)에서 불황기(저금리)로 변동될 시기에는 원리금보장상품 매수, 주식편입, 수익증권매수 전략으로 시장변동(Market cycle)에 따른 운용이 투자수익성 향상이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불황기(저금리)에서 호황기(고금리)로 접어들 때 주식이 편입된 수익증권을 매수하며, 호황기의 고점에 다가갈 때는 수익증권을 매도하여 MMF와 같은 현금자산을 보유하였다가 호황기에서 불황기로 접어들 때 원리금보장상품(정기예금 등) 같은 안정자산을 매수하는 전략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의 운용전략이 필요한 퇴직연금의 적립금 운용특성에도 적합합니다.